[준비물]
1.UMDGEN (첨부파일은 UMDGEN 4.0입니다.)
2.정품 UMD
3.하드디스크 여유공간 2기가 이내
4.PSP전용 USB케이블
5.커펌이 된 PSP
커펌이 된 PSP로 할것은 많습니다. 게임/홈브류/립
그중에서 제가 가장 많은 부분을 활용하는 것이 립입니다.
정품게임을 구입후 타이틀 기스+먼지 등에 예민한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분들에게 추천해드릴만합니다.
또한 UMD의 극약 로딩속도를 해결할수 있습니다.
립이라는게 배포용도가 아닌 개인용도로 사용하게되면 이득이 더 많이 따라오는 작업이기도 합니다.
자 그럼 라즈베리의 립방법을 전격공개 합니다. (이미 널리 퍼져서 식상합니다만 같이 배워봅시다.)
동영상처럼 vsh모드로 가서 메모리스틱을 UMD모드로 수정합니다.

다음 USB연결

기존의 메모리스틱이 나오던 것이 UMD로 체크가 됩니다.

초보자분들의 경우 실수를 하는 대목이 여기에 있습니다.
이 파일을 귀찮다 그냥 하드에 복사 해놓고 이름 바꾸면 그게 릴이 아니겠냐.?
하지만 일부 게임에서는 작게 또는 큰 문제를 일으킵니다.
제가 해본것중 총성과다이어몬드 게임중 멈추는 현상 발견 / 프린세스메이커5 리마스터링 판 공주방 깨짐
이런 현상이 나옵니다.
그래서 준비한것이 UMDGEN입니다. 제일위에 첨부파일 받으셨을거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자 그럼 다음과정을 진행합니다.

UMDGEN 을 실행하신 후 file > open disk image
이미지를 불러오기를 한다라는것이겠죠

불러오기 대상은 정품UMD에 있는 ISO파일을 불러옵니다. 이부분은 친숙하실겁니다.

UMD안의 ISO를 UMDGEN이 불러온 화면입니다. 우리가 ISO파일을 읽어오듯
방식 또한 같습니다.

이상태에서 그냥 저장만 해도 움드젠은 UMD안의 파일을 정리해주면서 저장을 해줍니다.
저는 무조건 ISO이미지로만 이미지를 만듭니다.
메모리스틱 또는 하드디스크의 용량 여유가 안되는분들은 CSO파일로 많이하시더군요
저는 2개다 풍족한 상태라 ISO하는 이유도 있지만 초반부터 파일을 압축방식으로 하는것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가 더 크다고 보면됩니다.

UMD이미지를 PC로 저장중입니다. 이과정중에 더미가 있을경우 더미를 제거 하면서 저장을 하기때문에 UMD용량과 차이가 나는 경우가 간혹있습니다.
모터스톰도 많은 양은 아니지만 더미가 있었나 봅니다. 저장후 용량이 30메가바이트가 줄어들었네요
중요한건 같은 파일을 릴할경우라 하더라도 릴할때마다 용량차이가 납니다.
용량에 따라서 시간도 그만큼 걸립니다. 제가 해본것중에서는 마왕재림이 가장오랜시간이 걸린 게임중 하나입니다.

릴이 완료가 되었습니다.
블라인드 스토리 이지만 전 릴을 할때 초기 파일명은 전부 123입니다.
이유는 작업을 완전히 마무리 하고 이다음에 이게임의 진짜 이름을 영문으로 넣어주고 마지막으로 제 릴명을 넣어줍니다.

자 한결 나아져보이죠. 명확한 게임명과 릴명이 표기된 완성본입니다.
UMDGEN을 사용하는 분들은 기본적으로 알고 계시는 부분들이라
이걸 악용을 하시더군요 제 릴을 떠다가 움드젠으로 퍼진 자료를 다운받은걸 새롭게 저장하더군요
그렇게 한다고 그게 자신의 릴이 되는건 아닙니다.
릴에도 예의가 있습니다.
저의 경우는 타인의 것을 재릴을 하는경우(수정작업)에도 그분들의 릴명과 파일명을 그대로 유지 합니다.
그건 릴하는 분들에 대한 예의와 감사의 마음을 잊지 않는것인 최소한의 제가 할수 있는 것이라 보여지거든요
암튼 요즘은 지킬것도 안지켜주고 바라기만 하는 족속들이 많아져서 그게 짜증이 납니다.

완성된 릴자료를 UMDGEN으로 불러온 화면입니다.
요즘 게임들 대부분이 펌웨어 5,55를 요구합니다, 완성본이다 하더라도 원본이라는 메리트만 있지
실행은 할수 없습니다. (GEN-5.50 C버전부터는 별도의 디그립트가 필요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것을 하시고 게임디그립트를 이용해서 버전을 우회시켜놓는 작업을 하시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향간에 떠도는 소문은 GO에서 파일을 불러오면 UMD랑 속도가 같다.
이건 말도 안되는 논리구요.? 이분들은 커펌을 사용해본 경험이 없거나
메모리속도를 완전히 무시하는 분들이라 보여질뿐입니다.
이렇게 작업이 완료된것을 메모리에서 불러올경우 속도는 비교가 안되니까요
이 포스팅은 배포의 목적으로 하는 포스팅이 아닌 정품사용자중에서도 커펌을 하신분들이 계실걸로 압니다.
미디어를 잘 관리 하시고 싶은분이나 관리하기 난감할경우는 이방법도 좋은 방법이라 소개해봅니다.
이밖에도 UMDGEN에서는 소스를 수정후에 새롭게 저장도 가능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